KT전국민주동지회
인간다운 KT를 만드는 사람들
검색
검색
로그인
소식지/성명서
현장의 목소리
사진/동영상
언론
소개
이름
비밀번호
비주얼
텍스트
KT가 성장 가능성이 큰 중앙아시아에 이어 아프리카 지역에 통신망 구축 등 정보기술(IT) 사업을 본격화한다.<BR><BR>특히 와이브로와 유비쿼터스시티 등은 우리나라가 우수한 기술력과 경험을 갖고 있는 만큼 KT와 관련 업체들의 이 지역 동반 진출은 이 지역 IT 수출에 물꼬를 틀 것으로 기대된다.<BR><BR>25일 KT는 아프리카 알제리, 르완다의 수도에 각각 주재 사무소를 열고 와이브로 등 통신망 구축사업을 진행한다고 밝혔다. KT는 이달 북아프리카 알제리 수도 알제, 중부 아프리카 르완다 수도 키갈리에 잇따라 사업사무소를 개소했다.<BR><BR>맹수호 KT 글로벌사업본부장은 “이번에 사무소를 개설한 것은 아프리카 사업 확대를 위한 전략적 토대”라며 “아프리카 국가들이 KT의 와이브로 등 IT 기술을 공유해 상호 윈윈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”이라고 말했다. <BR><BR>KT는 이곳을 아프리카 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적 거점으로 활용할 계획이다. 그동안 아프리카는 정치 불안, 경제난 등으로 주목을 받지 못했는데 일부 국가들은 안정을 되찾으면서 우선적으로 국가 통신망 구축 등 IT인프라 확보에 적극 나서고 있다.<BR><BR> 특히 르완다 정부는 KT와 공동으로 주요 통신망 구축 사업을 추진 중이다. 르완다는 이동통신 가입자가 매년 배 이상 증가할 정도로 IT산업 성장이 빠르다. 르완다 정부도 아프리카의 ‘IT허브’로 키우기 위해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.<BR><BR>KT는 현재 르완다 전국 30개시 및 인접 5개국 국경지역을 연결하는 국가 기간망을 깔고 있다. 수도 키갈리에는 아프리카에서 처음으로 KT가 와이브로망을 구축하고 있다.<BR><BR>지난 2007년부터 2차에 걸쳐 KT는 르완다에서 통신망 구축 사업을 해왔는데 현재까지 577억원 규모에 달한다. KT는 현재 우즈베키스탄 수도인 타슈켄트와 사마르칸트 등 지방 3개 도시에서 와이브로 서비스를 상용화했다.<BR><BR>맹 본부장은 “유선통신 인프라가 열악한 아프리카 국가들에 르완다의 와이브로망 구축은 좋은 벤치마킹 대상이 되고 있다”고 말했다.<BR><BR>특히 지난 22일 폴 카가메 르완다 대통령은 맹 KT본부장을 초청해 “KT가 르완다의 IT분야에서 국가적 파트너가 되어 달라”며 “앞으로 KT가 르완다뿐 아니라 케냐, 탄자니아 등 중·동부 아프라카 지역에서 사업 영역을 넓혀 가는데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”고 약속했다.<BR><BR>또 KT는 풍부한 원유 자원을 갖고 있는 알제리의 신도시에 IT인프라를 구축 중이다. 현재 알제리는 수도 알제에서 서쪽으로 25㎞ 떨어진 곳에 위치한 시디압델라라는 신도시를 한창 개발 중이다. 여기에 KT가 ‘유비쿼터스 시티’ 개념을 적용한 광케이블 통신망을 설계, 구축하고 있다. 사업규모는 336억원.<BR><BR>한편 두 국가의 KT사무소 개소식엔 맹 본부장을 비롯 최성주 주 알제리 한국대사, 부루이스 한·알제리 IT경제협력 단장, 누비토 르완다 통신청장 등이 참석해 상호 협력을 약속했다.<BR><BR>KT는 미국, 일본, 중국, 러시아, 우즈베키스탄, 몽골 등 7개 해외법인과 아프리카 알제리 등 7개 주재사무소를 갖고 있다. <BR>
링크 삽입/편집
닫기
대상 URL을 입력하세요
URL
링크 텍스트
새 탭에서 링크 열기
또는 기존의 컨텐츠에 링크하기
검색
지정된 검색어를 찾을 수 없습니다. 최근의 아이템을 보여줍니다.
아이템을 선택하려면 검색이나 상하 방향키를 사용하세요.
취소